#. 심리검사
구분 | 검사종류 | 대상 | 내용 |
성격 | MBTI(성격유형검사) | 고1-성인 | 자신의 선천적인 선호경향, 성격특성, 인간관계 패턴이해 |
MMTIC (어린이,청소년 성격유형검사) |
초4-중3 | ||
MMPI-A (인성검사, 청소년) |
중1-고2 | 개인의 성격, 정서, 적응 수준 등을 다차원적으로 평가 | |
MMPI-2 (인성검사, 성인) |
고3-성인 | ||
TCI | 9세-성인 | 기질 및 성격 평가를 통한 사고방식, 감정양식, 행동패턴, 대인관계 양상, 선호 경향 등 이해 | |
에니어그램 (성격유형검사) |
9세-성인 | 자신의 사고방식, 감정, 행동 검사를 통한 자기탐색 | |
ADS (주의력 장애 진단 시스템) |
9세-15세 | 주의력 문제를 진단하는 전산화된 검사 | |
BGT (신경-심리검사) |
9세-성인 | 인지, 정서, 성격인 심리적 특성검사 | |
지능 | 아동ㆍ청소년ㆍ성인 지능검사 K-WISC-VI K-WAIS-VI |
9세-18세 18세 이상 |
인지기능의 특성 및 강점, 약점, 적응행동 등을 파악 |
학습 / 진로 |
MLST(학습전략검사) | 초4-고등학생 | 학습과정의 습관적, 행동적, 전략적 효율성 측정 |
MST (학습동기유형검사) | 중1-고3 | 학습 동기 수준과 유형, 학습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-자녀의 가정환경인식 평가 |
|
홀랜드진로발달검사 | 초4~초6 | 진로와 관련된 자아개념, 진로의식, 진로에 대한 정보의 친숙도, 진로탐색 및 선택, 생애 계획에 대한 진로발달 및 성숙 정도를 측정 |
|
홀랜드진로탐색검사 | 중2~고등생 | 자신의 직업적 성격유형 파악 | |
종합 심리 검사 |
BGT, HTP, KFD, MMPI, SCT, 지능검사 |
9세~24세 | 증상에 대한 원인 규명, 인지와 정서 상태 파악, 치료적인 예후를 예측 |
MMPI, MBTI, SCT | 학부모 |